현재 위치
  1. 게시판
  2. 갤러리

갤러리

갤러리입니다.

게시판 상세
제목 [학교 비상벨 시스템] 경남과학고등학교 기숙사 설치
작성자 이엠콜 (ip:49.164.67.106)
  • 평점 0점  
  • 작성일 2024-05-21 14:21:37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11





안녕하세요 비상벨 전문 업체 이엠콜입니다.

요즘 경남 지역 학교에서 기숙사비상벨 설치 관련 문의가 많은데요!


모두들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 이번에 경남 과학고등학교에 설치된

학교 기숙사 비상벨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학교 기숙사 비상벨 어떻게 사용될까요?


학생들이 이용하는 기숙사 내에서 비상 상황 발생 시 방마다 설치된 비상벨을 누르면 사감실 또는

교무실에 설치된 수신기에서 해당 위치를 알 수 있는 호출번호가 표시됨과 동시에 비상 알림이 울리게 됩니다.

수신기 화면에 표시된 호출번호를 확인한 관리자가 해당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으로

학생들이 보다 안전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경남과학고등학교 외관 이미지입니다.

학교 자체가 크고 건물이 나누어져 있는 형태지만 이러한 현장도 무선으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합니다.


무선 시스템이란 제품끼리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무선 RF 신호로 송수신하여 복잡한

전기작업 없이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유지 보수 비용도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남자 기숙사 내부 ]

기다란 통로 사이로 기숙사 방들이 쭉 이어져있으며 방마다 모두 비상벨이 설치됩니다.


301호 기숙사방에서 비상벨을 누르면 사감실과 교무실에 설치된 수신기에서

301 번호가 표시됨과 동시에 도움 요청 음성이 출력됩니다.









기숙사 방마다 설치된 GST-E1 무선 비상벨입니다.


GST-E1 무선 비상벨은 대용량 배터리로 약 4~5년 유지되는데요!

일반 송신기의 배터리 수명보다 약 2배 유지되어 배터리를 교체 시기가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GST-E1 무선 비상벨은 1개의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배터리가 모두 소모될 경우

CR2450 코인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비상벨 중앙 버튼을 누르게 되면 벨 왼쪽 상단에 적색 불빛이 1회 반짝이게 되며

이 불빛으로 벨 누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상벨 자체에서 소리가 나는 제품이 아닌 벨 누름 시

신호를 받은 수신기에서 비상 알림이 울리는 시스템입니다.









비상벨은 기숙사방 뿐만 아니라 화장실, 샤워실, 세탁실, 세면장 등

비상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소에 모두 설치되었습니다.


보호 케이스&사인보드판 왜 같이 설치할까요?


먼저 "비상 호출벨"이러고 쓰여있는 사인보드판은 함께 설치하면 어떠한 용도의 벨인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보호 케이스는 잘못 눌림 방지와 방수를 위한 용도로 함께 설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GST-E1 비상벨의 실내 기준 송신 거리는 약 20~30m이며

오픈 필드(전파방해가 없는 개활지)의 경우 최대 50m까지도 송신 가능합니다.


또한 GST-E1 비상벨의 경우 일반 송신기 제품보다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눈에 잘 띄는 장점이 있을뿐더러 벨 버튼 자체에 "비상벨" 문구가 쓰여있기 때문에

비상시 누르는 벨임을 확실하게 인지가 가능합니다.









비상벨은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배터리 타입으로 별도 전원 연결 없이 쉽게 설치가 가능한데요!


사인보드판 뒷면에 3M 양면테이프 작업을 해드리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 제거 후 원하시는 위치에 부착만 해 주시면 됩니다.


비상벨 설치 시 눈에 잘 띄는 위치와 손이 잘 닿는 높이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원활한 송신을 위해 문과 가까이 설치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장애인 화장실에도 비상벨이 설치되었는데요!

장애인 화장실은 왜 비상벨이 2개 설치되었을까요?


장애인 화장실 1칸에 비상벨이 2개씩 설치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변기에 앉았을 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1개, 나머지 1개는 쓰러졌을 때에도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서 20cm 높이에 1개를 더 설치합니다.


비상벨을 더욱 단단하게 고정을 원하신다면 사인보드판 테두리에 실리콘 작업 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실리콘 작업을 안 하더라도 3M 양면테이프가 강력하게 부착되므로

힘으로 떼어내지 않는 한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









사감실에 설치된 GSR-320 수신기모니터입니다.


비상벨을 누르면 수신기 모니터에서 호출번호가 표시됨과 동시에

"(사이렌) OOO 번 도움이 필요합니다."라는 음성이 출력됩니다.


비상벨 누름 시 무선 RF 신호를 수신 받은 수신기모니터에서 비상상황이 일어난 위치를

알 수 있는 해당 호출번호가 표시됨과 동시에 사이렌과 함께 도움 요청 음성이 출력됩니다.



수신기 전면 오른쪽 하단에 - + 버튼으로 간단하게 소리 크기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 현장에 알맞게 원하시는 소리 크기로 설정하여 사용해 주세요 :)


한대의 수신기에는 400여 개의 벨을 등록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FND 표시 방식으로 숫자뿐만 아니라 일부 영문이나 기호 표시도 가능합니다.









GSR-320 수신기모니터는 3자릿수가 2칸 동시 표시되는 제품으로

왼쪽에는 최근 호출번호가 표시되며 오른쪽에는 이전 호출번호가 표시되는데요!


여러 장소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동시에 비상벨을 누르더라도 오른쪽 화면에

이전 호출번호가 롤링되어 표시되므로 비상 상황을 놓치지 않고 신속하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전 호출번호 롤링 개수는 최대 9개까지 표시됩니다.









수신기모니터 제품은 비상벨과 달리 상시 전원용으로 전용 어댑터를 수신기 뒷면

전원 연결부에 연결 후 220V 전원 콘센트를 꽂아 사용해 주셔야 하는데요!


수신기 설치 위치에 전원 콘센트 연결이 가능한지 사전에 미리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307호 기숙사에서 비상벨을 눌렀을 경우 위 이미지와과 같이 수신기 왼쪽 화면에

"307" 번호가 표시되며 "삐용 삐용 삐용 307번 호실 도움 요청입니다." 음성이 출력됩니다.


GSR 수신기 모니터는 적색 FND 화면으로 시인성을 높여주어 멀리서도 잘 보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









GSR-320 수신기 모니터 설치방법 또한 매우 간편한데요!


수신기 모니터 전용 브래킷을 벽면에 고정 후 제품을 시계 걸 듯 걸어 주시고 전원 콘센트를 꽂아 주시면 됩니다.


지저분해 보일 수 있는 선은 몰딩 작업해 주시면 보다 깔끔하게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









경남과학고등학교에서는 교무실에서 남자 기숙사와 여자 기숙사 모두 비상 알림을 받길 원하셨는데요!


위쪽 수신기는 남자 기숙사에 설치된 비상벨 신호만 수신 받으며

아래쪽 수신기는 여자 기숙사에 설치된 비상벨 신호만 수신 받게 됩니다.


남/여 혼선 없이 각 수신기에 등록된 비상벨의 신호만 수신 받기 때문에

한 곳에 여러 대의 수신기를 설치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남자 기숙사 201호에서 비상벨을 누르면 위쪽 수신기에서 "201" 숫자가 표시되며

여자 기숙사 201호에서 비상벨을 누르면 아래쪽 수신기에서 "201" 숫자가 표시됩니다.


기숙사 호실 번호가 남/여 겹칠 경우 수신기를 남/여 각각 한대씩

따로 설치하여 알림을 받아 사용하시면 좀 더 편리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









경남과학고등학교는 GX-8200_E 이더넷 중계기가 설치되었는데요!


이더넷 중계기란?


건물이 떨어져 있거나 거리가 멀어 일반 중계기로 커버가 되지 않을 경우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으로 거리 제한 없이

같은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환경이라면 어디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내 보안망이 되어있는 환경일 경우 사용이 어려우니

내부 인터넷망에 보안이 걸려있는지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이더넷 중계기 또한 상시 전원용이며 전원 콘센트와 인터넷망 랜선 연결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이 여자 기숙사 건물은 본관 건물과 떨어져 있는데요!


여자 기숙사 사감실에 설치된 수신기 쪽에 이더넷 중계기를 설치하여

여자 기숙사 비상벨 누름 시 신호를 받은 여자 기숙사 쪽 이더넷 중계기가

본관 교무실에 설치된 이더넷 중계기로 인터넷망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게 됩니다.


신호를 수신 받은 본관 교무실에 설치된 이더넷 중계기를 통해

본관 교무실 수신기 모니터에서도 비상 알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건물이더라도 이더넷 중계기를 활용하여 무선신호로 쉽고 간편하게 비상호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X-8200 거리 연장 중계기 설치 이미지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GST-E1 무선 비상벨의 실내 송신 거리는 실내 기준 약 20~30m이며

거리가 멀거나 층간, 벽, 꺾인 구간으로 인해 원활하지 않은 신호를

증폭(거리 연장) 해 주는 제품이 바로 GX-8200 중계기입니다.


기숙사 건물 층마다 N대의 중계기가 설치되었으며 중계기의 수량과 설치 위치는

현장에 따라 달라지므로 학교 도면이나 배치도를 이엠콜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대략적인 수량과 중계기 설치 위치를 안내드릴 수 있습니다.


거리 연장 중계기 제품 또한 상시 전원용이며 중계기 설치 위치에

전원 콘센트 연결이 가능한지 꼭 확인해 주셔야 하며 징검다리 역할인 중계기는

하나라도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근처 비상벨의 신호를 받지 못하게 되므로

중계기 설치 시 사람들의 손에 잘 닿지 않는 높이(천정과 가까이) 설치해 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해서 경남과학고등학교에 설치된 기숙사 비상벨에 대해 소개해 드렸는데요!


무선 RF 신호로 송수신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복잡한 유선 작업 없이 간단하게 시스템 구성 및 설치가 가능하므로

학교뿐만 아니라 비상벨 설치가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이 가능하오니

사용 현장에서 필요하신 시스템을 말씀해 주시면 알맞은 제품을 추천 드리겠습니다.



기숙사 비상벨은 설치만 했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


일정 기간마다 테스트를 진행하여 배터리가 없는 비상벨은 배터리 교체를 해주셔야 하며

수신기와 중계기 제품은 전원이 잘 들어와 있는지 확인해 주셔야 하는데요!


배터리 타입의 무선 비상벨의 경우 사용하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배터리가 조금씩 소모되기 때문에 년마다 테스트를 진행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국 A/S 설치가 가능한 이엠콜!

더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연락 주세요!

친절하게 안내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첨부파일 경남과학고등학교_기숙사비상벨_01.jpg
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비밀번호 :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댓글 입력
댓글달기 이름 : 비밀번호 : 관리자답변보기

영문 대소문자/숫자/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 10자~16자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관리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

고객센터

1688-3763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 / 일 / 공휴일 휴무

E-mail : bsemc@naver.com

계좌안내

농협 352-1786-4636-63

예금주 : 김홍진